-
1900~1920년대
-
팔미도 등대 등명기 실도면
1908년 6월 인천에 세운 국내 최초의 등대, 팔미도 등대 등명기의 설계도다.
-
팔미도 등대 현판
팔미도 등대의 초기 현판으로 현재 국립등대박물관에 보관돼 있다.
-
-
1930~1940년대
-
무종과 망치
유인 등대에서 안개신호기로 이용하던 황동재질의 종과 나무망치.
-
석유등
석유를 연료로 하는 램프로 석유남포라고도한다. 1934년부터 1965년까지 선미도 등대에서 등대원 숙소 조명용으로 사용했다.
-
석유등명기
광원에서 나온 빛을 렌즈 또는 반사경을 이용해 외부로 방사하는 조명 기구. 1956년 일본에서 제작했다.
-
-
1950~1960년대
-
아세틸렌가스 등롱
등명기의 광원을 석유 혹은 가스로 사용할때 광원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사용했다.
-
한미 협조 증표
한국과 미국의 협조 체제로 유인 등대와 항로표지, 등표 등을 건설한 것을 기념하기위해 항로표지기지창에서 제작한 증표.
-
항로표지 업무 편람
업무의 체계 확립과 표준화를 통해 등대원이 효율적으로 업무에 대처하도록 한 지침서.
-
-
1970~2010년대
-
태양전지판
등명기의 광원을 석유 혹은 가스로 사용할때 광원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사용했다.
-
자동전압조정기
발전기의 불규칙한 전압을 자동으로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장비. 1968년 제작해 1979년까지 사용했다.
-
DGPS 수신기
DGPS는 GPS 수신기를 2개 이상 사용해 상대적 측위를 하는 방법으로 거리 오차 보정치를 정밀하게 계산한다.
-
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?