페이지 타이틀
-
주요 등대 연표 1903~1907년
-
1903
-
팔마도 등대
인천광역시 중구 위치 1903년 6월 최초 점등
국내 최초의 근대식 등대로 한국전쟁 시 연합군의 인천상륙작전 성공에 일조했다.
-
-
1904
-
부도 등대
인천광역시 옹진군 위치 1904년 4월 최초 점등
국내 최초의 근대식 등대로 한국전쟁 시 연합군의 인천상륙작전 성공에 일조했다.
-
-
1905
-
거문도 등대
전남 여수시 위치 1905년 4월 최초 점등
붉은 벽돌로 건립한 첫 등대로 100년 넘은 3등급 회전식 대형 등명기가 남아 있다.
-
칠발도 등대
전남 신안군 위치 1905년 11월 최초 점등
1935년 국내 최초로 무선방위신호소를 설치해 운영했다.
-
-
1906
-
우도 등대
제주도 제주시 위치 1906년 3월 최초 점등
제주도에서 제일 오래됐으며 등대 주변에 테마공원을 조성했다.
-
홍도 등대
경남 통영시 위치 1906년 3월 최초 점등
국내 최남동단에 위치하며 홍도는 천연기념물 제335호 괭이갈매기의 서식지다.
-
울기 등대
울산광역시 동구 위치 1906년 3월 최초 점등
동해안 최초의 등대로 등대와 바다를 소재로 글을 쓰는 장소를 제공한다.
-
영도 등대
부산광역시 영도구 위치 1906년 12월 최초 점등
해안 절경이 수려한 태종대에 있어 관광객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문화 시설이다.
-
-
1907
-
옹도 등대
충남 태안군 위치 1907년 1월 최초 점등
국내에서 선박 운항이 제일 힘든 관장항 수도에 위치한다.
-
시하도 등대
전남 해남군 위치 1907년 9월 최초 점등
목포항 입구 조류가 강하고 모래가 자주 쌓이는 시아해 가운데 섬에 있다.
-
죽도 등대
전남 진도군 위치 1907년 12월 최초 점등
남해 서부 연안의 끝 맹골군도에서 대형 선박의 항해를 돕는다.
-
가거도 등대
전남 신안군 위치 1907년 12월 최초 점등
국내 최서남단에 위치해 동남아시아에서 들어오는 선박의 육지초인표지가 된다.
-
-
-
주요 등대 연표 1908~1911년
-
1908
-
목포구 등대
전남 해남군 위치 1908년 1월 최초 점등
섬광 주기가 가장 빠르며 국내 최초로 모터사이렌(6KW)을 설치했다.
-
소청도 등대
인천광역시 옹진군 위치 1908년 1월 최초 점등
국내 최서북단에 위치하며 100년이 넘은 3등급 회전식 대형 등명기가 있다.
-
호미곶 등대
경상북도 포항시 위치 1908년 12월 최초 점등
붉은 벽돌을 사용해 유럽풍으로 지었으며 인근에 등대박물관이 있다.
-
-
1909
-
당사도 등대
전남 완도군 위치 1909년 1월 최초 점등
국내 최초로 무선방향탐지기를 설치해 무선방위 측정 업무를 실시했다.
-
하조도 등대
전남 진도군 위치 1909년 2월 최초 점등
서남해 연안 해역에서 조류가 가장 빠른 장죽수도 중앙에 위치한다.
-
격렬비열도 등대
충남 태안군 위치 1909년 6월 최초 점등
국내 최서단 10개의 섬이 동서 방향으로 길게 늘어선 서쪽 끝 섬에 위치한다.
-
말도 등대
전북 군산시 위치 1909년 11월 최초 점등
서해 중부 연안 고군산열도 최북서단에 위치한다.
-
가덕도 등대
부산광역시 강서구 위치 1909년 12월 최초 점등
100년 이상의 등대 역사를 모은 타임캡슐이 있으며 등대체험학교를 운영한다.
-
목덕도 등대
인천광역시 옹진군 위치 1909년 12월 최초 점등
인천 앞바다로 들어오는 배들이 처음 인지하는 초인등대다.
-
-
1910
-
어룡도 등대
전남 완도군 위치 1910년 10월 최초 점등
서남해 연안 항로인 횡간수도, 마로해와 장죽수도가 교차되는 지점에 위치한다.
-
소리도 등대
전남 여수시 위치 1910년 10월 최초 점등
국내에서 처음 육각형 구조로 건립한 등대다.
-
죽변 등대
경상북도 울진군 위치 1910년 11월 최초 점등
한반도 국토의 중간 지점에 위치해 연안 표지역할을 한다.
-
-
1911
-
안도 등대
충남 태안군 위치 1911년 12월 최초 점등
우리나라 수도 관문으로 인천, 대산, 평택항으로 갈라지는 수로 입구에 위치한다.
-
-
-
주요 등대 연표 1912~1944년
-
1912
-
어청도 등대
전북 군산시 위치 1912년 3월 최초 점등
서해 중부 해상의 맑은 바닷물이 특징이며 서해안 최초로 무선표지를 설치했다.
-
-
1915
-
마라도 등대
제주도 서귀포시 위치 1915년 3월 최초 점등
국내 최남단 마라도에 세웠으며 1987년 12월 신등탑을 건립했다.
-
가사도 등대
전남 진도군 위치 1915년 10월 최초 점등
국내 최초의 국산 회전식 대형 등명기가 있어 강력한 불빛을 낸다
-
-
1916
-
산지 등대
제주도 제주시 위치 1916년 10월 최초 점등
제주항의 관문 등대로 1999년 12월 개량하고 전망대를 설치했다.
-
-
1917
-
소매물도 등대
경남 통영시 위치 1917년 8월 최초 점등
남해 동부 연안 항로에서 자연 경관이 수려한 소매물도에 있다.
-
-
1918
-
주문진 등대
강원도 강릉시 위치 1918년 3월 최초 점등
강원도에서 가장 오래됐으며 동해안 최초로 무선표지국을 운영했다.
-
-
1920
-
간절곶 등대
울산광역시 울주군 위치 1920년 3월 최초 점등
1월 1일 첫 해가 뜨는 곳으로 해양수산홍보관이 설치돼 있다.
-
-
1928
-
백야도 등대
전남 여수시 위치 1928년 12월 최초 점등
남해 중부 연안 항로를 운항하는 선박의 지표역할을 한다.
-
-
1931
-
홍도 등대
전남 신안군 위치 1931년 2월 최초 점등
기암괴석과 노송이 절경을 이루는 홍도는 천연기념물 제170호로 지정됐다.
-
-
1934
-
선미도 등대
인천광역시 옹진군 위치 1934년 10월 최초 점등
국내에서 제일 높은 곳에 설치한 등대로 3등급 회전식 대형 등명기를 설치했다.
-
-
1937
-
오륙도 등대
부산광역시 남구 위치 1937년 11월 최초 점등
국내 최대 항만인 부산항의 상징이며 등대역사전시실이 있다.
-
-
1944
-
서이말 등대
경남 거제시 위치 1944년 1월 최초 점등
거제도 동쪽 끝에 있어 남해 동부 연안을 운항하는 선박의 지표 역할을 한다.
-
-
-
주요 등대 연표 1952~1983년
-
1952
-
오동도 등대
전남 여수시 위치 1952년 5월 최초 점등
이 충무공의 역사가 깃든 곳인 여수항과 광양항을 드나드는 선박의 뱃길을 밝힌다.
-
-
1954
-
독도 등대
경상북도 울릉군 위치 1954년 8월 최초 점등
우리나라 최동단의 화산 바위섬에 세운 등대로 등대원이 상주한다.
-
-
1955
-
송대말 등대
경상북도 경주시 위치 1955년 6월 최초 점등
신라의 건축양식을 도입해 개량했으며 백색과 홍색의 호광등을 설치했다.
-
-
1957
-
속초 등대
강원도 속초시 위치 1957년 6월 최초 점등
국내 유일의 3등급 수은 중추식 회전 등명기를 설치했다.
-
-
1958
-
거진 등대
강원도 고성군 위치 1958년 2월 최초 점등
대진 등대가 관할하면서 무인 등대가 됐고 인근에 공원을 조성했다.
-
울릉도 등대
경상북도 울릉군 위치 1958년 4월 최초 점등
한국반도의 동쪽 끝 울릉도 서단에서 선박의 육지초인표지 역할을 한다.
-
-
1963
-
묵호 등대
강원도 동해시 위치 1963년 6월 최초 점등
강원도 동해안 최대 항만인 묵호항에 위치한다.
-
-
1968
-
후포 등대
경상북도 울진군 위치 1968년 1월 최초 점등
예부터 깃발과 봉화로 선박의 지표가 된 등기산에 세웠다.
-
-
1973
-
대진 등대
강원도 고성군 위치 1973년 1월 최초 점등
동해안 최북단 통일전망대와 가까이 있으며 거진 등대를 원격조종한다.
-
-
1979
-
도동 등대
경상북도 울릉군 위치 1979년 6월 최초 점등
국내 동쪽 끝 울릉도 동단에서 울릉도와 독도의 근해 조업을 돕는다.
-
-
1980
-
추자도 등대
제주도 제주시 위치 1980년 2월 최초 점등
육지와 제주도의 중간 지점에서 남해 연안 선박의 운항을 돕는다.
-
-
1983
- a
-
화암추 등대
울산광역시 동구 위치 1983년 1월 최초 점등
국내 최장신으로 등탑 안에 해양수산홍보관과 전망대가 있다.
-
-
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?